ONE-OFF

[PlusX ShareX Fastcampus] BX 실무 마스터 패키지 후기 본문

카테고리 없음

[PlusX ShareX Fastcampus] BX 실무 마스터 패키지 후기

jaewon_jang 2023. 4. 23. 22:40

브랜딩 공부 할 때 plux x 프로젝트의 아이덴티티, 비주얼 모티프, 어플리케이션 적용을 참고하였습니다. 

하지만 결과물 구성으로 되어있어 팀내에서 어떤 고민과 의견이 오가며 완성했는지에 대한 갈증이 항상 있었습니다.

강의는 이런 궁금증을 해소했을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디자이너의 태도와 준비를 세심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소통방법

프로젝트 일정표, 개발 항목서, 견적서, 계약서 등을 어떤식으로 작성하고 써야하는 감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일정표는 브랜드 경험 전략, 브랜드 디자인(로고, 타이포, 컬러, 디자인 모티프, 컨셉 등), 브랜드 어플리케이션 컨셉

개발(명함, 스티커, 웹, 앱, 사이니지 등), 디자인 가이드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어떤 아웃풋이 진행되는지 클라이언트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표를 공유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개발 항목서에서는 일정표에 개발 항목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전에 개발항목을 미리 산출해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과 비용을

줄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견적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디자이너의 등급별 기술자와 세부적인 업무와 개발 항목서, 회사 내규의 노임단가, 인건비, 전체 리소스 투입기간 실비 내역 등을 파악하여 견적서를 작성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계약서에서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피드백 기간을 설정해 기간추가로 인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중간 만들어진 산출물에 대한 소유권에 대한 명시 방법이 나와있습니다.

 

브랜드의 정체성 개발을 위해 인터뷰가 가장 중요한데

  • 브랜드 배경, 목적, 확장 계획, 타깃층을 파악
  • 브랜드 지향 이미지, 커뮤케이션 방식, 동종업계와 차별화 되는 점 등을 질문
  •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가장 중점적인 반영과 지양해야 하는 부분, 벤치마크 사례
  • 개선방향, 컨셉의 의미 등을 질문

위 내용들로 인터뷰지를 구성해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후 자사 브랜드의 시장조사, 경제상황, 소비자 반응, 직, 간접 경쟁사 브랜드 디자인(로고, 컬러, 타이포 등) 리서치하였고 디자인 경험 유무에 따른 클라이언트 집단에 따른 문서화 방법도 제시하여 세부적으로 어떤식으로 소통하는지 있습니다.

 


세밀하고 철저한 디자인

BX는 절대 단순하지 않고 체계적이고 세심하게 만들어진 분야였습니다. 그동안 단순히 이미지에만 맞는 방식들을 생각하며 작업하였습니다. 무드보드부터 디자인 스케치, 시안, 리뷰 제안 방법, 로고, 컬러, 타이포 시스템 등 세심하고 철저하게 계산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을 이번 강의에서 많이 느끼게 되었습니다. 

 

무드보드를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할 때 한쪽으로 치우친 무드로만 이뤄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고 디자인 스케치시 브랜드 아이덴티티 컨셉에 맞는 키비주얼, 스토리, 의미 등을 어떤식으로 표현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그 고민을 실무자들과 어떻게 공유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었고

브랜드에 맞는 주요 어플레이션 항목을 선정하고 목업과 ,프로토타입핑을 적용시켜 클라이언트를 어떤식으로 이해도를 높이는지 있습니다. 인상깊은 프로젝트 소개 중 크린랩 목업 전개였습니다. 로고와 심볼의 다양한 그래픽 시안들을 개발해 동일한 목업에 적용하여 목업 퀄리티, 톤앤매너 보다 디자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였습니다. 3D가 필요한 프로젝트의 경우는 프로토타입핑을 통해 로고와 디자인 모티프가 어떤식으로 앱, 웹에서 구현되는지 알려주어 클라이언트의 이해도를 돕도록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브랜드 스토리를 어떻게 이미지로 풀어서 보여주는지 사례를 통해 자세히 알려주었습니다.

 

디자인 리뷰는 제작된 시안 들 중 가장 최적의 브랜드 다움과 디자인 방향을 설득해 클라이언트를 합리적이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리뷰 이전 어떤 시안들을 먼저 보여줄지 지표를 만들어 제시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브랜드 방향성에 가장 적절한 시안들을 보여주기 위해 지표를 만든다는 것을 생각도 하지 못하였습니다.

 

로고의 기본적인 정의와 타이포그래피의 구성요소를 대략적으로 알려줍니다. 또한 소문자, 대문자에 따라 달라지는 로고의 이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장, 단점을 분석해 가장 적합한 로고는 무엇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부분은 클라이언트가 다른 식으로 디자인 되었을 때 궁금해 하는 것을 해소시킴으로써 합리적으로 디자인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로고타입을 , 오프라인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려 주어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브랜드 타이포그래피를 설정할 때에도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가이드 설정을 하는것은 브랜딩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배너, 패키지 등 심볼과 타입로고 간격을 가이드로 설정해 소비자가 한 눈에 봤을 때 일관 된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로 하는 사례가

나와있습니다. 이외에도 영문과 국문이 함께 쓰일 경우 일관 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도록 두께와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브랜드 개발에 필요한 타이포그래피를 직접 제작해 키비주얼로 사용 할 수 있는 방식도 나와있습니다.

 

이외에도 일관 된 브랜드 경험 개발을 위해 진행하는 수많은 과정들을 다양한 사례로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해도가 쉬우며 인하우스, 에이전시 등에 근무하는 현직자나 브랜드 디자인을 공부하는 디자이너에게 도움이 크게 되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관심있거나 브랜딩이 막막함을 느끼시는 분들이라면 강의 들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plusxsharex.fastcampus.co.kr/dgn_online_pxbx

 

플러스엑스 BX 실무 마스터 패키지 | Plus X Share X

브랜드 디자인 전략부터 BX 엘리먼츠, 디자인 가이드라인까지 플러스엑스 BX 팀의 업무 프로세스 전체를 하나의 커리큘럼으로 완성하세요.

plusxsharex.fastcamp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