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sX Share UI

[PlusX Sharex Fastcampus] UI 제안 프로세스

jaewon_jang 2023. 7. 23. 13:24

이번 강의는 파트너사와 프로젝트 진행시 준비해야 하는 과정을 담은 강의이다.

 

에이전시의 경우 다양한 시장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프로젝트 수행이 원활하다.
그래서 진행 전 파트너사 및 시장 조사, 상품, 업종 디자인 스타일, 기술 등을 미리 스터디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역시나 배경지식과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프로젝트를 퀄리티를 높일 수 있다. 오른쪽 보이는 것처럼 아주 다양하고 방대한

시장들이 존재한다. 이것들에 대해서 평소에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관찰을 하면 디자인 작업시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에 들어가면 파트너사, 시장, 기술에 대해서 조사를 해야한다. 그리고 관련 디자인 스타일도 함께 살펴보아야 하고 사용성과 서비스 구조에 대해서 분석을 해봐야한다. 서비스 구조를 잘 살펴야 기업과 브랜드가 핵심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평소에 앱을 사용하면서 ui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보는 편인데 서비스 구조는 신경을 잘 쓰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구조에 대해 관찰을 해야겠다.

 

비지니스마다 타겟층과 보여줘야 될 것들이 다 다르다. 자사 브랜드는 고객이 주 타겟층이지만 플랫폼은 유통시켜야 하는 브랜드와 고객 둘 다 타겟층을 잡고 설계해야 한다. 플랫폼이 좀 더 신경 써야 하는 것들이 더 많은 것 같다!!

 

UI스타일 설정 시 폰트를 정하는 것도 신중해야 한다. 2가지만 비교해 봐도 완전히 다른 느낌이다. 왼쪽은 세련되고 심플한 느낌이라면 오른쪽은 개성이 느껴진다. 두 개 중 심미성을 위주로 타입선정이 되는 것이 아닌 브랜드가 가진 색깔과 가치를 잘 반영할 수 있는 타입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가독성을 배제할 순 없다! 글을 얼마나 잘 읽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

 

브랜드와 이미지의 연결은 인상을 결정짓기 때문에 신중하고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감성과 이성을 적절히 잘 활용해 무드를 통일시키고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을 보여줘야 한다. 이미지 선택시에도 많은 내용을 담기보다 핵심적인 내용만을 보여주는 것이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시키는 것이 원활 할 것이다. 

 

아이콘 설정 시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나 고민되는 부분이 많았는데 로고가 가진 형태의 일부분을 사용해 아이콘을 만들면 통일성이 뚜렷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아이콘을 로고에서 가져와 적용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복잡한 모양을  가진 로고는 아이콘에 적용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로고에서는 형태의 심미성이 좋을 순 있지만 아이콘에서는 떨어질 수 있는 확률이 높을 것이다.

 

직급에 상관없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킨다는 얘기를 들으면서 나도 얼른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접하고 작업하면서 실력을 점차 늘려나가고 싶다.

 

정말 공감이 많이 가는 부분이다. 내가 하고 있는 디자인이 방향성이 일치가 잘 하는가를 고민하는데 브랜드스러움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배경지식과 프로젝트의 이해도가 높은 상태에서 진행을 해야 한다.

파트너사에게 제안 문서를 작성 할 때 키노트를 사용한다고 한다. 굉장한 꿀팁이었다. 생동감 있고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모션을 잘 활용한다면 좀 더 전문적이고 명확하게 메세지를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몇가지 기능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어서 나중에 꼭 사용해 봐야겠다.

 

수강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