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sX Share UI

[PlusX Sharex Fastcampus] UX와 UI

jaewon_jang 2023. 7. 19. 10:00

플러스엑스 팀 구성

플러스엑스의 팀 구성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는데 강의를 통해 해소가 되었다. 총 7개의 팀으로 구성이 되어있었다.
BX 브랜드 경험 / UX 사용자 경험 /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 DX 프론트 경험 /CX 사내 사업 담당 /EX 회계, 인사 담당 / AL 브랜드 및 서비스 운영 이렇게 많은 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도화 된 결과물이 나왔다고 생각된다. 각각의 프로젝트 성향에 따라 팀별로 협업을 맺고 진행하기 때문에 전문화되고 고차원의 디자인이 산출된 것이라 생각한다. 나도 내가 공부하는 분야에서 다른 팀들과 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겠다. 그러기 위해선 특정 분야 외에 다른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깊게는 모르더라도 소통 할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겠다.

인하우스와 에이전시

인하스와 에이전시의 차이점을 알려주었다. 대략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었지만 명확하게 차이점을 설명하여 각 역할에 따른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준비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인하우스는 특정 산업군의 전문성을 가지고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집중을 해야하고 에이전시는 다양한 산업군을 설계 해야하기 때문에 호기심과 도전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을 해야 한다. 현재 브랜드 디자이너로 준비를 하고 있지만 다양한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해서 UI, UX 등 한정된 분야가 아닌 다채롭게 공부 중이다. 그리고 새로운 분야를 탐색하는 것을 선호해 에이전시가 현재는 내 적성에 더 맞는다고 생각이 든다.

 

UX 포지션

UX는 브랜드에 관련된 리서치를 진행하고 사용자의 행동과 심리를 예측해 전반적인 서비스를 구체화 시키는 작업으로만 생각을 했었다. 강의에서는 이론적인 접근 방식보다 본인의 생각을 담은 하나의 스토리를 함축적,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한다. 나만의 생각을 담는 것이 사용자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생각해 봤을 때 문제해결 능력으로 귀결되었다. 만약 이론으로만 UX를 접근한다면 정석적인 결과는 나오겠지만 브랜드가 가진 고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차별화 된 제품과 서비스는 사용자와 소비자의 불편한 부분을 파악해 개선 했을 때 탄생한다고 생각된다. 그렇기에 공감과 분석은 중요하고 자신의 생각을 담은 여러가지 아이덴이션과 인사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수강 인증샷